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손해평가사 시험과목, 시험일정, 연봉 1000만원?

by 최신정보 New 2025. 2. 21.

 

농업재해 피해를 조사하는 손해평가사!

1년에 시험이 딱 한번 뿐입니다.


시험일정, 과목, 그리고 연봉 정보도 공개합니다!

꼼꼼하게 이 글을 확인해주세요!

 

손해평가사란 어떤 직업인가요?

 

손해평가사는 농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각종 손해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그에 따른 보상액을 산정합니다.


특히 자연재해(태풍, 가뭄, 홍수, 한파 등)나 각종 사고(화재, 병해충 등)로 인해 농작물 및 농업시설에 발생한 피해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평가합니다.


피해가 발생했을때, 손해평가사가 산정한 피해액에 따라 보험금이 지급됩니다. (농업 재해보험)

 

 

쉽게 이야기하면, 농업과 축산의 재해 상황을 파악하여 보험금을 정확하게 산정하게끔 하는 일을 하게 됩니다.

 

보험에 대해서도 공부해야하고, 농업에 대해서도 공부해야 시험을 칠 수 있습니다 ^^

 

 

 

 

손해평가사 시험과목은?

 

손해평가사 시험은 1차와 2차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차수마다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평가합니다.

1차 시험 과목 (객관식)

  • 상법 보험편
  • 농어업재해보험법령
  • 재배학 및 원예학

2차 시험 과목 (단답형, 서술형)

  • 농작물재해보험 및 가축재해보험의 이론과 실무
  • 농작물재해보험 및 가축재해보험 손해평가의 이론과 실무

 

특히 2차 시험에서는 실제 농작물 손해평가 사례를 바탕으로 계산 및 서술해야하므로 실무 경험과 사례 분석 능력이 중요합니다.

1차보다 2차 합격률이 낮아 공부가 많이 필요합니다.

 

 

2025년 손해평가사 시험일정은?

 

1차 시험:

  • 원서접수 기간: 2025년 4월 7일(월) ~ 4월 11일(금)
  • 시험일: 2025년 5월 10일(토)
  • 가답안 발표: 2025년 5월 10일(토) 오후 2시 ~ 5월 16일(금) 오후 6시
  • 합격자 발표: 2025년 6월 11일(수) 오전 9시 ~ 8월 9일(토) 오후 11시 59분

 

 

2차 시험:

  • 원서접수 기간: 2025년 7월 21일(월) ~ 7월 25일(금)
  • 시험일: 2025년 8월 30일(토)
  • 합격자 발표: 2025년 11월 19일(수) 오전 9시 ~ 2026년 1월 17일(토) 오전 12시

 

 

 

 

손해평가사 시험접수는 큐넷에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아래 링크를 저장해두었다가, 일정에 맞춰서 1차시험과 2차시험을 접수하세요.

 

 

Q-Net 손해평가사

고객센터 1644-8000 신속하고 성심껏 안내 해드리겠습니다. 평일 09:00~18:00

www.q-net.or.kr

 

 

 

 

 

손해평가사 연봉은 얼마?

 

 

협회 소속 손해평가사:

  • 근무일수: 연간 평균 30~40일 정도 근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수입: 일당으로 계산되며, 하루에 약 30만 원에서 40만 원 사이의 수당을 받습니다. 따라서 연간 수입은 약 900만 원에서 1,600만 원 정도로 추정됩니다.

 

 

법인 소속 손해평가사:

  • 근무일수: 법인에서는 협회보다 더 많은 근무일수를 제공하며, 연간 60~150일 정도 근무할 수 있습니다.
  • 수입: 일당은 약 30만 원 초중반으로, 연간 수입은 약 1,800만 원에서 4,500만 원까지 다양합니다. 특히 경력이 쌓일수록 더 많은 근무일수와 수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손해평가사의 수입은 소속 기관에 따라 달라집니다.

 

협회 소속의 경우 프리랜서 형태로 근무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900만원 이하의 수입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재해가 나는 상황에 따라 손해평가사들이 돌아가면서 파견된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손해평가사를 첫번째 직업으로 생각하고 온다면 수입이 적다고 생각될 수도 있습니다.

 

부업의 형태로 생각하여 추가수입을 1년에 700만원~1000만원 정도 더 번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1년에 근무일이 30~40일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하루 일당으로 생각하면 높은 벌이이지만, 총 1년 연봉을 따지면 그렇게 높지는 않습니다.

 

은퇴 후 할 수 있는 직업으로도 추천합니다.

 

혹은 부업을 구하는 30~40대에게도 추천합니다.

 

 

 

 


 

 

손해평가사는 농업인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농업 재해보험 제도의 신뢰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직업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자연재해가 빈번한 환경에서는 손해평가사의 공정하고 정확한 손해 산정이 농업인의 생계를 보호하는 데 큰 기여를 합니다.

 

손해평가사는 농업인과 보험회사 사이에서 중립적인 위치에서 공정한 평가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농업인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며, 동시에 법적 기준과 규정을 준수하여 객관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균형 잡힌 태도는 신뢰받는 손해평가사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 조건입니다.

 

또한, 손해평가사는 현장 조사와 보고서 작성 업무가 많기 때문에 강한 책임감과 꼼꼼함이 요구됩니다.
특히, 재해가 발생한 현장을 방문할 때는 빠르고 정확한 판단이 필요하며, 피해 농작물의 생육 상태와 피해 원인을 세밀하게 분석해야 합니다.이를 위해 끊임없는 학습과 실습이 필요하며, 선배 전문가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실무 노하우를 습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여러분이 손해평가사를 꿈꾸는 이유는 다양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끈기와 열정이 필요합니다.
도전의 길이 때로는 험난할 수 있지만, 여러분의 노력이 결실을 맺는 순간은 반드시 올 것입니다.


손해평가사를 향한 여러분의 열정과 노력을 응원합니다!


꿈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세요!